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---|---|---|---|
| 5 | [수학] 숫자 0의 의미
|
2012-07-16 | 7992 |
|
숫자 0은 아무 것도 없음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.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을 하나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구체화하여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위대한 지성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겠으나,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0의 위치적 기수법의 역할에 있습니다. 위치적 기수법이란? 0으로는 나눌 수 없다! 음수나 허수도 지극히 추상적이고 비현실적이지만, ‘0명의 사람이 3개의 빵을 나누어 먹는다’라는 상황을 수학적으로 모순 없이 정의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. 왜 그런지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. ![]() 이와 같은 계산을 무한히 해 보면 , 즉 서로 다른 모든 실수가 서로 같다는 모순이 발생하게 됩니다. 따라서 어떤 수를 0으로 나눌 수는 없는 것이지요.아무 것도 없는 수 0이 아니라, 0에 가까워지는 아주 작은 상태(무한소)로는 어떤 수를 나눌 수 있고, 그 값은 무한대(∞)가 됩니다(고교 과정이므로 이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). 그러나 정확하게 0으로 어떤 수를 나누는 것은 불가능하며, 위와 같이 수 체계가 엉망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수학에서는 0으로는 어떤 수를 나눌 수 없다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. 어떤 수를 0번 곱하는 것은 가능할까? 같은 수를 여러 번 거듭해서 곱하는 것을 거듭제곱이라 하고, 거듭해서 곱한 수를 밑, 거듭해서 곱한 개수를 지수라고 합니다. 예를 들어 5를 4번 거듭해서 곱하는 것을 나타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 ![]() 그렇다면 5를 0번 곱하면 어떻게 될까요? 이것을 거듭제곱으로 나타내면 |
|||
- 댓글이 없습니다.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---|---|---|---|
| 6 | [수학] 소수
|
2012-09-13 | 8167 |
| 5 | [수학] 숫자 0의 의미
|
2012-07-16 | 7993 |
| 4 | [수학] 합동
|
2012-06-18 | 10013 |
| 3 | [수학] 속력
|
2012-06-18 | 4679 |
| 2 | [수학] 배수판정법
|
2012-06-18 | 24740 |
| 1 | [수학] 서로 만나는 평행선
|
2012-06-14 | 6990 |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. 이 식을 전자계산기에 입력해 보면 ‘error` 메시지가 뜹니다. 이해할 수 없는 식이라는 뜻이지요. 이 나눗셈을 실생활에 적용시켜 보면, ‘빵 3조각을 0명의 사람이 나누어 먹으면 각각 몇 조각씩 먹을 수 있겠는가?’와 같은 상황을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. 
, 즉 서로 다른 모든 실수가 서로 같다는 모순이 발생하게 됩니다. 따라서 어떤 수를 0으로 나눌 수는 없는 것이지요..jpg)
이 되고, 의미하는바 그대로 5를 한 번도 안 곱한다는 것인데요, 아무것도 곱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그 값이 0이 될 것 같지만, 수학적으로 그 값은 1입니다.
을 계산해 보면.jpg)
과
의 지수인 4와 2의 차를 이용하여
를 계산해 보면
의 지수의 차를 이용하여 계산하면
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미설정





